[뉴스포커스] 코로나19 어제 424명 확진…산발 감염 지속

  • 3년 전
[뉴스포커스] 코로나19 어제 424명 확진…산발 감염 지속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어제 424명 발생했습니다.

지난달 중순부터 신규 확진자 수는 300~400명대를 오르내리고 있는 가운데. 직장과 어린이집, 운동시설 등을 고리로 확산세가 계속되며 불안한 양상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한편, 오늘부턴 서울대병원을 시작으로 상급종합병원 의료진에 대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이 이뤄지는데요.

관련 내용들, 백순영 가톨릭대 의대 명예교수, 최영일 평론가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오늘 오전 9시 반에 발표된 0시 기준 신규 확진자 수는 424명입니다. 지금의 상황을 어떻게 보고 계시며, 이런 정체기가 언제까지 계속될 거라 보시는지요?

코로나19 발생 사례를 보면 공장이나 식당, 어린이집 등 특정 장소도 있지만, 가족 모임이나 대학생 지인 모임 등 장소와 상황을 가리지 않습니다. 그렇다는 건 개개인의 방역수칙 준수가 가장 중요한 게 아닐까 싶습니다. 현재 상황, 어떻게 보고 계신가요?

어제 갑자기 무더기로 발생한 것이 동두천시 외국인 집단감염인데요. 이 집단감염은 기존 집단감염과 약간 다른 것이 같은 직장도 아니고, 또 같은 모임도 아닙니다. 이것은 어떤 경로로 감염이 퍼졌다고 봐야 할까요?

정부가 남양주 공장발 감염이 발생한 이후 외국인 근로자들이 거주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선제검사를 실시하고 있는데요. 그런 과정에서 동두천시 외국인 집단감염도 밝혀지게 됐습니다. 동두천시가 외국인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행정명령까지 내렸는데요. 위반할 경우 어떤 처벌이 내려지게 되나요?

미등록 외국인들의 경우는 익명검사로 아무리 정부가 안전을 보장해 준다고 해도 확진 판명이 나면 자신의 소재와 동선을 밝혀야 하는 것이 두려운 건데요. 미등록 외국인들의 진단검사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나요?

또 하나 우려되는 것이 헬스장 관련 집단감염인데요. 어제는 강원도 원주의 한 헬스장에서 확진자 5명이 발생해 회원 및 이용객 400명을 대상으로 진단검사를 시행했다고 하고요. 전주에서는 일주일 전 강사 1명이 확진된 이후 지금까지 관련 확진자가 61명 입니다. 헬스장 운영이 재개된 것이 1월 18일부터니까 아직 두달이 채 안됐는데요. 계속해서 집단감염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다시 또 영업을 금지해야 할까요?

전주 헬스장의 경우 마스크를 모두 하고 있었지만 스피닝 운동이라고 해서 움직임이 격하고 구호를 외치거나 노래를 부르는 행위가 있었다고 해요. 사실 구호나 노래 부르는 행위는 교회나 집회, 노래방 등 굉장히 조심해야 한다고 모두가 알고 있지 않습니까? 이 부분은 방역수칙 위반에 해당하지 않습니까?

지금부터는 백신 접종과 관련된 이슈들에 대해 이야기 나눠볼 텐데요. 우선 반가운 소식부터 전해드리면 원래는 8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던 상급종합병원 의료진에 대한 백신 접종이 오늘부터 시작이 됐습니다. 백신 물량이 당초보다 빨리 들어오면서 일정이 당겨졌다고 하는데, 어떻게 된 소식인가요?

현재 코로나 환자를 치료하는 의료진들은 화이자 백신을 맞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요. 오늘부터 진행되는 상급종합병원 의료진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습니다. 상급종합병원 의료진 중 코로나 환자를 치료하는 의료진과 그렇지 않은 의료진은 다른 백신을 맞게 되는 건가요?

이번에는 백신 접종 관련 사건사고 소식을 살펴보겠습니다. 경기도의 한 요양병원에서 재단 이사장 가족이 백신 접종을 먼저 맞는 이른바 '새치기 접종' 의혹이 불거졌는데요. 일단 방역당국은 해당 병원과 계약을 해지하고 남은 백신도 회수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요양병원은 백신 접종 위탁기관인 건데요. 방역당국에서 감시를 한다거나 현장에서 관리하는 책임자가 따로 없는 건가요?

오늘로서 백신접종 7일째인데요. 어제 중증이상 반응 사례 신고도 3건이 나왔고, 백신 접종후 사망한 사례도 2건이나 발생했습니다. 먼저 중증이상 반응 사례를 보면 예방접종 2시간 내 호흡곤란과 두드러기 증상이 나타났다고 하는데요. 처음엔 아나필락스성 사례라고 했다가 아나필라스양 사례라고 부르더라고요. 아나필락시스와 어떻게 다른 건가요?

백신 접종 후 사망한 사례도 2건 발생했는데요. 모두 요양병원 입소자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 후 사망했다고 합니다. 어떤 사례인지 자세히 소개 좀 해주시죠.

아직 이들에게서 백신 부작용이 있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하는데요. 두 사람 50대, 60대면 그렇게 고령자라고도 볼 수는 없지만 모두 기저질환자들이었다고 합니다. 이것도 사망 원인 중 하나가 될 수 있을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