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재벌의 미국 원정 '배터리 전쟁'…LG 완승

  • 3년 전
◀ 앵커 ▶

전기자동차와 함께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시장, 바로 전기차 배터리입니다.

국내 업체인 LG와 SK가 영업 비밀 침해를 놓고 미국까지 가서 소송전을 벌였는데, LG의 승리로 끝났습니다.

두 회사가 들인 소송 비용만 수 천억 원이라고 합니다.

이준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2019년 4월.

LG화학이 SK이노베이션을 미국 국제무역위원회, ITC에 제소했습니다.

SK가 LG 직원들을 자기 회사로 빼 가면서 영업비밀을 침해했다는 이유였습니다.

소송 2년 만인 오늘, LG가 이겼습니다.

ITC는 앞으로 10년 동안 SK의 배터리 관련 제품들의 미국 수입을 금지했습니다.

SK는 약 3조 원을 투자해 미국 조지아주에 배터리 공장 2개를 짓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부품은 한국에서 조달하는 거여서, 이 판결대로라면 미국 생산을 못 하게 됩니다.

하지만 아직 끝난 건 아닙니다.

ITC는 SK와 납품계약을 한 폭스바겐과 포드에 한해, 수입금지를 각각 2년과 4년 유예했습니다.

폭스바겐과 포드의 미국 공장을 보호하기 위해서입니다.

LG와 SK가 지난 2년 동안 쓴 소송비용만 수천억 원에 달합니다.

## 광고 ##이례적으로 총리까지 나서서 말렸습니다.

[정세균/국무총리 (1월 28일)]
"좀 낯부끄럽지 않습니까? 양사가 싸우면 남 좋은 일만 시킨다…"

두 회사의 전쟁은 전기차 배터리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을 보여줍니다.

2025년 전 세계 전기차 배터리 예상 시장규모는 98조 원, 2020년의 6배나 됩니다.

[이지연/신영증권 연구위원]
"전기차 원가에서 거의 30%에서 40%를 배터리가 차지를 하게 됩니다. 내연기관을 대체하고 있기 때문에.."

두 회사가 합의할 가능성도 남아 있습니다.

하지만 합의금 액수가 문제입니다.

[임수길/SK이노베이션 부사장]
"SK이노베이션의 일관된 원칙 하나는 원만한 합의를 통한 조기 종료였습니다."

[한웅재/LG에너지솔루션 전무]
"저희는 기본적으로 전적으로 경쟁사의 태도에 달려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국내 업체 3곳의 세계 시장 점유율은 34.3%.

하지만 중국 정부의 보조금을 등에 업은 중국 업체들의 추격이 거셉니다.

MBC뉴스 이준희입니다.

(영상취재: 이향진 고헌주 / 영상편집: 정소민)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