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 딸 사람이 없어서…코로나에 설 차례상도 비상

  • 3년 전
◀ 앵커 ▶

최근 농산품과 식료품 가격 급등이 심상치가 않습니다.

바로 다음주가 설 인데, 사과 3개에 만8천 원, 달걀 한 판에 7천 원이 넘습니다.

전 세계적인 기후 변화, 여기에 코로나19로 인한 일손 부족까지 겹쳤기 때문인데, 이런 추세가 당분간 계속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문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경기 파주의 한 사과농장.

저온 창고에 사과 상자가 10개밖에 없습니다.

설을 앞둔 이맘때면 원래 200개 정도가 가득 차있어야 합니다.

[이금순/사과농장 대표]
"여기다 쌓아 놓고 팔았어요. 어디다 놓을 데도 없었는데, 올해는 그게 없어. (대형마트에서) '사과 가져오세요' 그래서..없어요, 사과 없어요."

한 대형마트.

사과 3개에 1만7천8백 원입니다.

작년보다 두배 반 비쌉니다.

"너무 많이 비싸서 지금 엄두가 안 나서 보고 있는 거예요."

배와 곶감도 모두 40% 정도 올랐습니다.

시금치와 고사리같은 나물도 올랐습니다.

달걀값은 조류인플루엔자 때문에 30개 한 판에 7천 원을 돌파했습니다.

역시 작년보다 40% 넘게 뛰었습니다.

농산물 가격이 이렇게 급등한 건 우선 기후변화 때문입니다.

우리나라는 작년에 유독 장마가 길었고, 가을에 태풍도 잦았습니다.

## 광고 ##여기에다 코로나19까지 덮쳤습니다.

코로나19로 외국인 노동자들의 입국이 끊기면서, 농촌 노동력이 부족해진 겁니다.

지난 1년 농촌으로 보낼 예정이던 외국인 노동자가 4천917명이었는데, 단 한 명도 입국하지 못했습니다.

[이금순/사과농장 대표]
"외국인 노동자도 고용 못하잖아요. 코로나 때문에."

농산품 가격 급등은 전세계적 현상입니다.

선물 시장에서 옥수수는 42%, 대두는 53%, 팜유는 28% 올랐습니다.

전세계적인 기후변화, 그리고 코로나19로 노동자들의 발이 묶인 탓입니다.

그 여파로 국내 가공품 가격도 오르고 있습니다.

한 프랜차이즈 제빵 회사는 지난달 빵값을 9% 올렸고, 식용유와 즉석밥 가격도 잇따라 오를 예정입니다.

1월 소비자 물가지수는 거의 오르지 않았지만, 유독 농산물과 축산물만 11% 급등했습니다.

기후변화도, 코로나19도 금방 끝날 일이 아니어서, 이런 상승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MBC뉴스 이문현입니다.

(영상취재: 김희건 / 영상편집: 고무근)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