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행정관 소환…‘에너지전환TF’ 겨눈 검찰

  • 3년 전


북한 원전 건설 관련 문건이 요며칠 주목을 받긴 했지만,

검찰 수사의 핵심은 원전 조기 폐쇄 당시 경제성 조작을 했는지, 했다면 누가 지시했나입니다.

검찰이 최근 청와대의 지시사항을 산업부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진 당시 청와대 행정관을
소환조사했습니다.

당시, 청와대에 존재했던 태스크포스가 원전 폐쇄를 주도했다고 의심하고 있는데요.

김수현 당시 대통령 사회수석비서관이 이끌었던 곳입니다.

최주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검찰의 원전 수사는 청와대 에너지전환 태스크포스로 향하고 있습니다.

이 TF는 월성 원전 1호기의 조기 폐쇄 결정이 이뤄진 2018년 당시 탈원전 정책을 총괄한 컨트롤 타워였습니다.

TF를 이끈 건 김수현 당시 대통령 사회수석비서관이었습니다.

[김수현 / 전 대통령사회수석비서관(2018년)]
"원전 폐기라기보다는 60여 년에 걸쳐서 에너지정책을 전환하자는 것이 오히려 합당한 표현이 아닌가 싶고요."

검찰은 수사 과정에서 산업부 직원들이 사회수석에게 보고하기 위해 작성한 문건을 일부 확보했습니다.

원전 폐쇄 과정을 에너지전환TF가 주도한 걸로 검찰은 보고 있습니다.

감사원 감사에선 산업정책비서관이었던 채희봉 가스공사 사장이 소속 행정관을 통해 산업부에 원전 폐쇄 관련 사항을 전달한 정황이 포착됐습니다.

그런데 검찰은 산업정책비서관실 뿐만 아니라 청와대의 여러 수석실을 아우르는 광범위한 개입이 있었는지 수사를 확대하고 있는 겁니다.

김수현 당시 사회수석비서관에 대한 조사가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검찰은 최근 청와대와 산업부 사이에서 메신저 역할을 한 전직 청와대 행정관을 소환조사했습니다.

청와대 지시 사항을 전달할 때 에너지전환TF가 관여한 사실이 있는지를 집중 조사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채널A 뉴스 최주현입니다.
choigo@donga.com

영상편집 : 손진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