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치소 집단감염에 법무부 “서울시 탓”…서울시는 ‘황당’

  • 3년 전


이렇게 800명 가까운 확진자가 나온 서울동부구치소,

국가 중요 시설로 특별 관리하는 곳이라 더 기가 막히죠.

전수 검사도 늦었고. 내부 수용자들은 의심환자들과 격리도 잘 되지 않았다고 증언합니다.

마스크도 제대로 지급되지 않았다는데,

이런 문제제기들에 대한 법무부의 해명은 예산이 부족했다,

그리고 서울시 탓이었다는 것입니다.

일은 커질 대로 커졌는데 책임부터 떠넘기는 모습, 시청자 여러분 보시기엔 어떠십니까.

이어서 최주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늑장 전수검사 지적이 나오자 법무부가 내놓은 해명은 서울시가 결정을 미뤘다는 겁니다.

근거는 지난 14일 서울시와 송파구청, 수도권질병대응센터와 가진 회의였습니다.

지난달 27일 직원 확진에 이어 이날 처음 수용자도 확진되자 긴급 대책 회의를 가진 겁니다.

법무부는 전수검사를 제안했지만,

서울시와 송파구가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주장했습니다.

"법무부가 자체 예산으로 전수조사를 추진하긴 곤란했다"고도 했습니다.

서울시는 황당하다는 반응입니다.

"서울시가 방역 방향을 독단적으로 결정하는 구조가 아니"라는 겁니다.

[박유미 / 서울시 시민안전국장]
"당시 환자 발생 양상이나 종사자들에게서 나타나는 추가 확진자 이런 양상을 고려해서 추이를 보는 형태로 진행했었고…"

법무부가 예산 부담을 언급한 것에 대해선

"집단 발병시 국가가 무료로 검사를 해준다"며

"4차례 이뤄진 전수 검사도 모두 국가 비용으로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논란이 거세지자 이용구 법무부 차관은 내일 동부구치소 집단 감염 원인과 대응 방안을 발표하기로 했습니다.

채널A 뉴스 최주현 입니다.

choigo@donga.com

영상취재 : 최혁철
영상편집 : 조성빈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