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수의 글로벌브리핑] 美 코로나19 백신 책임자 "다음달 11일 첫 접종" 外

  • 4년 전
[김지수의 글로벌브리핑] 美 코로나19 백신 책임자 "다음달 11일 첫 접종" 外


[앵커]

다음 달 11일이면 미국에서 코로나19 백신의 첫 접종이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코로나19 백신 개발 최고책임자는, 내년 5월쯤 미국에서 '집단면역'이 가능할 것임을 시사했습니다.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은, 트럼프 대통령의 불복 행보에도 불구하고 곧 첫 내각 인선을 발표합니다.

밤사이 들어온 글로벌 뉴스, 김지수 기자와 살펴보겠습니다.

미국 정부 승인을 앞두고 있는 코로나19 백신을, 다음 달 11일쯤 접종할 수 있다는 전망인데요, 자세히 전해주시죠.

[기자]

트럼프 행정부에서 코로나19 백신 개발을 총괄하는 최고책임자가, 이르면 다음 달 11일부터 미국인들에게 백신을 접종하기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몬세프 슬라위 최고책임자는 우선, 미 제약사 화이자와 독일 바이오엔테크가 공동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을 이르면 다음 달 11일부터 미국인들에게 접종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미 식품의약국 FDA는, 다음 달 10일 자문위원회를 열어 화이자의 백신 긴급사용 승인 신청 건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슬라위는 승인이 이뤄진 다음 날인 다음 달 11일이나 12일에 미 전역에서 첫 접종이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에서 다음 달에는 최대 2천만명이, 이후에는 매달 3천만명이 접종할 것이라고 슬라위는 말했습니다. 다만, 정치적, 개인적 신념을 이유로 접종을 기피하는 미국인들이 집단면역 달성 구상에 걸림돌이 될 수 있습니다. 지난 9월 여론조사에서 '코로나19 백신을 맞겠다'는 미국인은 절반 정도에 불과했습니다.

백신 개발 최고책임자는, 내년 5월쯤 미국에서 '집단면역'이 달성될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인구의 70% 정도가 면역력을 가진다면 집단면역이 일어날 수 있을 것이라면서 5월쯤 그런 일이 일어날 것 같다는 겁니다. 집단면역을 달성하면 추가 확산을 걱정할 필요없이 코로나 대유행 이전의 삶으로 돌아갈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내비쳤습니다. 백신 개발 최고책임자의 이 같은 전망은, 다음 달부터 미국에서 백신 접종을 시작한다는 시간표에 따른 겁니다.

한편, 주요 20개국, G20 정상들이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를 적정 가격에 공평하게 보급하기 위해 역량을 집중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습니다.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등 G20 정상들은, 21일과 22일 화상회의 형태로 열린 정상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정상선언문을 채택했습니다.

[앵커]

다음은, 코로나19 상황 살펴볼까요. 미국에서는 곧 다가올 추수감사절이 확산의 기폭제가 될까 우려되고 있는데요. 어떻습니까.

[기자]

미 당국이 26일부터 나흘 간의 추수감사절 연휴 때 여행 금지를 권고했는데도, 지난 주말 이틀간 미국민 200만명이 항공기 여행에 나선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미 교통안전청은 20일과 21일의 경우 지난 3월 코로나 대유행이 시작된 이래 각각 두 번째와 세 번째로 항공기 이용객이 가장 많은 날이었다고 밝혔습니다. 상당수 미국민이 코로나 위험을 감수한 채 비행기에 탑승한 겁니다. 전문가들은 추수감사절 여행이 코로나 확산의 또 다른 기폭제가 될 수 있는데다, 크리스마스까지 확진자가 급증하면 매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미국에서는 이달 들어서 발생한 코로나19 확진자가 300만명을 넘어섰습니다. 22일 기준 미국에서 11월 한 달 동안 발생한 확진자는 300만2천여명으로, 22일 만에 300만명을 넘긴 겁니다. 현재 미국의 누적 확진자가 1천200만명대라는 점을 감안하면, 4분의 1에 달하는 확진자가 이달에 쏟아진 겁니다. 코로나19가 무섭게 퍼지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미국 텍사스주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가 급증하자, 주 방위군과 죄수까지 동원해 시신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텍사스주는 영안실 작업을 돕기 위해 주방위군 36명을 투입했으며 텍사스주 엘패소에서는 교도소 수감자까지 동원했습니다.

유럽에서는 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한 통제에 반대하는 시위가 곳곳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이 시위는 극우세력과 음모론자들이 주도해왔습니다. 22일 독일 베를린에서는 수백명이 참여한 시위가 열려 경찰 600명이 배치됐습니다. 최근에는 시위대가 정부를 나치로 묘사하고 자신들을 나치의 유대인 대학살 피해자로 비유하고 있습니다. 그만큼 정부의 통제 조치에 반감이 심하다는 걸 짐작할 수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하루 신규 확진자가 닷새 연속 2천명을 웃도는 등 바이러스가 매우 빠른 속도로 퍼지고 있습니다. 상황이 이런데도 일본 정부는, 경기 부양과 방역을 병행하겠다는 이유로 소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스가 요시히데 총리는 감염 확산이 심각해지자 마지못해 경기 부양책 일부를 수정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전 세계 누적 확진자는 5천896만명을 넘어섰고, 누적 사망자는 140만명을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오늘 오전 통계사이트 월드오미터 기준입니다.

[앵커]

이번에는, 미국 대선 관련 소식 살펴보겠습니다. 조 바이든 당선인, 트럼프 대통령의 불복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백악관 참모진에 이어 내각 인선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는데요. 곧 첫 내각 인선을 발표한다는 소식이네요.

[기자]

론 클레인 백악관 비서실장 지명자는, ABC방송에서 이번 주 화요일 당선인의 첫 내각 인선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백인 남성 일색이었던 트럼프 행정부의 내각을 얼마나 탈피할지 주목됩니다.

국무·국방·재무장관 등 핵심 직책이 발표 대상에 포함될지에도 관심이 쏠립니다. 바이든 당선인은 19일 민주당 내 진보도 중도도 수용할 만한 인사로 재무장관을 낙점했으며, 26일 전후로 발표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클레인 비서실장 지명자는 또, 연방총무청이 신속히 바이든 당선인을 승자로 확정하고 정권 인수를 지원해야 한다면서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검증이 이뤄지지 않는 등 차질이 계속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바이든 당선인은 11일 비서실장에 론 클레인을 낙점한 데 이어,...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