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47명 신규 확진…17일 만에 50명 아래로

  • 4년 전
[뉴스포커스] 47명 신규 확진…17일 만에 50명 아래로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어제 47명 발생해 다시 두 자릿수로 줄었지만, 새로운 감염고리가 산발적으로 나와 불안한 국면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방역당국은, 단풍놀이와 핼러윈데이가 새로운 고비가 될 수 있다며 방역강화에 나섰는데요.

관련 내용, 정기석 한림대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어제 발생한 신규 확진자 수는 47명으로 다시 하루 만에 100명 아래로 줄었습니다. 어제는 부산 요양병원에서 추가 확진자가 나오지 않았는데요. 이 사례를 제외하면 전국 코로나19 상황이 안정세라고 봐도 되나요?

방역당국은 추석연휴와 한글날 연휴 이후 대규모 확산 사례는 나타나지 않았다며 하향 국면으로 분석하기도 했는데요. 연휴와 관련해서도 잠복기를 고려하면, 아직 안심하기는 이르지 않습니까?

코로나19가 전 세계에서 재확산하고 있는데요. 방역당국이 확진자가 증가하는 국가들을 '추이 감시국가'로 따로 지정해 관리하기로 했습니다. 추이감시국가에서 들어오는 사람들을 대상으로는 어떤 검사가 이뤄지나요?

부산 요양병원 사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요양병원이 위치한 부산 만덕동은 한 달간 80여명이 넘는 확진자가 발생해 주민들의 불안이 확산해 처음으로 동 단위 방역까지 실시했는데요. 왜 부산 만덕동에서만 감염이 확산했는지 궁금합니다, 왜 그런거죠?

부산 요양병원에는 고령의 기저질환이 있는 환자들이 많아 사망자가 늘어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부산에 위중·중증 환자들을 위한 시설은 여유가 있는 상태인가요?

확진 판정을 받은 직원들에 대한 역학조사도 진행 중인데요. 주민들 사이에선 동선 공개를 빨리 해달라는 민원도 쏟아졌습니다. 보통 한 명의 동선을 조사하는 데는 시간이 어느 정도 걸리나요?

요양병원의 경우 출퇴근하는 직원들에 의해 감염됐을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려운데요. 병원 직원 중 한 명이 참석한 재개발총회에 200명 정도가 참석했다고 알려졌죠? 당시 거리두기 2단계 상황이었는데요, 방역수칙을 제대로 안 지켰을 가능성도 있지 않습니까?

이 요양병원은 평소 마스크도 제대로 쓰지 않는 등 방역관리가 허술한 것으로 드러났는데요. 현재 환자들은 병원 안에 격리돼 있습니다, 추가 감염 가능성도 큰 상황 아닌가요?

수도권 중심으로 장례식장과 주점, 대형마트, 식당 등에서 산발적인 감염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다중이용시설 감염이 걱정인데요, 개인방역이 잘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많은 거 같아요?

이번 주말 일부 보수단체들이 광화문에서 1천명 규모의 야외 예배를 하겠다고 신고한 상황입니다. 거리두기가 1단계로 완화된 상황에서, 집회로 인해 감염이 확산할까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방역당국은 당장 단풍놀이와 핼러윈데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단풍 절정기로, 이번 주말부터 등산이나 나들이이 늘어날텐데요. 또 이달 31일 핼러윈데이를 앞두고 주말에 다양한 행사들이 열릴 예정입니다. 인파가 몰리는 곳엔 언제든 감염위험이 높다고 봐야하지 않습니까?

독감 백신 이야기도 하지 않을 수가 없는데요. 독감 백신이 부족할지 모른다는 우려 때문에 갑자기 독감백신을 맞으려는 사람들이 몰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독감백신이 부족할 가능성은 어떻게 진단하십니까?

어제 문재인 대통령이 "치료제는 올해 안에 본격 생산하고. 백신은 내년까지 개발 완료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는데요.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는데요. 치료제 올해 안에 생산, 가능할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