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 신문 보기] 직원에게 처방내역 도둑질시킨 대웅제약

  • 4년 전
◀ 앵커 ▶

이어서 오늘 아침신문 보겠습니다.

◀ 앵커 ▶

먼저, 경향신문입니다.

◀ 앵커 ▶

유명 제약회사 대웅제약이 영업사원을 동원해 병원·약국 등 거래처로부터 처방 내역 등의 정보가 담긴 통계를 불법 열람·입수했다는 내부고발이 나왔다고 합니다.

신문을 보면, 대웅제약은 영업 전략을 위해 사원들로부터 거래처의 통계를 확보해 보고할 것을 강요하고, 이를 실적에 반영하고 있다고 합니다.

영업사원들이 들키지 않고 정보를 빼낼 수 있도록 정기 교육 프로그램까지 운영했다는데요.

이 같은 논란에 대해 대웅제약 측은 "자세한 내용은 파악 중"이라면서 "현재 통계 수집은 하지 않으며 관련 교육도 진행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고 합니다.

◀ 앵커 ▶

고용노동부 자료를 보면, 최근 3년 동안 1년에 한 번꼴로 취업과 실직을 반복한 사람이 2만여 명에 달했다고 합니다.

이처럼 실업급여 반복 수급자가 늘어난 건 무엇보다 청년층의 일자리 부족 때문이라고 합니다.

실제로 지난달 15~29세의 체감실업률은 26.3%, 청년 넷 중 한 명은 실업자란 얘기인데요.

여기에 여러 번 받아도 제한이 없다 보니 특정 직업 없이 아르바이트로 생활하는 젊은 층, 이른바 '프리터족'과 실직자를 오가는 사람이 많아졌다고 합니다.

◀ 앵커 ▶

신문은, 코로나19가 대학가의 성적평가 방식까지 바꿔놓으면서 취업난에 허덕이는 대학생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일부 대학이 비대면 강의의 평가 공정성 논란을 해소하기 위해 도입한 선택적 패스 제도가 '학점 인플레'를 유발해 다른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라는데요.

'선택적 패스제'는 학점성적 대신 단순히 낙제 여부만 가려집니다.

이 때문에 A학점을 받은 학생이나 D학점을 받은 학생이나 모두 같은 평가를 얻어, 사실상 학점 상승효과로 이어진다는데요.

또, 그만큼 학업부담이 줄어든 학생들은 자격증 시험이나 대외활동에 좀 더 시간을 할애할 수 있어, 기존 평가방식을 유지하기로 한 대학에서 학생들의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고 합니다.

◀ 앵커 ▶

최근 인터넷 커뮤니티와 SNS에 코로나19 확진자 동선이 떠돌아다니면서 사생활 침해를 호소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고 하죠.

코로나19 확진자의 '잊힐 권리'를 위해 지자체들이 나서고 있다고 합니다.

지자체가 직접 대책반을 만들어 인터넷을 감시하거나, 시민들로부터 제보를 받은 뒤 확진자 동선을 삭제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는데요.

서울 송파구가 도입한 '인터넷 방역단'이 대표적 사례인데, 약 2주간 총 1천 건의 확진자 동선을 찾아내 이 중 720건을 삭제했다고 합니다.

◀ 앵커 ▶

다음 달 27일 전국 모든 지역에서 SK텔레콤의 2G 서비스가 완전히 종료된다고 하죠.

2G 서비스 종료가 임박하면서 011, 017 등의 번호를 유지하고 있는 이동통신 가입자들의 속앓이도 깊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이들은 다양한 사연들로 '2G 서비스가 종료되더라도 사용하던 번호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게 해달라'고 주장하고 있다고 합니다.

일각에선 2G 이용자들이 큰 보상을 바라고 '알박기'를 하는 게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기도 한다는데요.

하지만 지난 2012년 KT의 2G 서비스 중단 사례를 고려할 때 SK텔레콤이나 LG유플러스의 2G 서비스 시기가 종료되더라도 별다른 추가 보상이나 혜택은 주어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 앵커 ▶

한때 '준주택'으로 주목받았던 오피스텔 임대 시장이 얼어붙고 있다고 합니다.

최근 수년간 오피스텔의 공급이 급증하고, 유례없는 초저금리로 전세대출 이자 부담이 줄어들면서 세입자들이 월세를 기피하고 있어서라는데요.

이 때문에 지난달 전국 오프스텔 월세가격 지수가 3년 만에 가장 낮았다고 합니다.

또, 서울 강남권에서도 매매가가 전셋값 아래로 떨어진 이른바 '깡통 오피스텔'이 등장했다고 합니다.

아침신문 살펴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