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큐브] '대구도 뚫렸다' 31번째 코로나19 확진

  • 4년 전
[뉴스큐브] '대구도 뚫렸다' 31번째 코로나19 확진


29번, 30번째 확진자에 이어 해외여행력이 없는 31번째 확진자가 나오면서, 지역사회 전파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31번째 확진자는 대구에 거주하는 61세 여성으로 코로나19에 영남권도 뚫린 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해외여행력이 없는 확진자가 잇따라 발생하는 배경은 무엇이고, 또 대구에서의 첫 확진자 발생 의미는 무엇인지 이승남 가정의학과 전문의, 김정기 고려대 약학과 교수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29번째, 30번째 확진자에 이어 오늘 새롭게 발생한 31번째 확진자 또한 해외 여행력이 없고 기존 확진자와 접촉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현재 감염 경로를 조사 중이지만 지역사회 감염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는 것 같은데요.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특히 31번째 확진자의 경우 영남권에선 처음으로 발생했다는 점도 주목받고 있는데요. 그동안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오지 않아 청정지역으로 남아있던 영남권의 첫 확진자, 어떤 의미로 봐야 합니까?

동선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해외여행력은 없습니다만 지역 내 병원, 교회, 호텔 등을 거쳐 대중교통도 이용한 것으로 조사됐는데요. 동선을 좀 짚어주시죠.

특히 31번째 확진자는 지역 중형병원과 교회, 호텔 등을 거쳐 가고 대중교통도 이용한 것으로 조사돼 슈퍼전파자 우려도 제기되는데요. 그 가능성에 대해선 어떻게 보십니까?

일단 정부가 코로나19의 지역사회 확산을 막기 위해 요양병원 종사자들에 대한 중국여행력 전수조사에 나섰는데요. 선제대응이란 면에서 긍정적 평가가 나옵니다만 실제 현장에서 잘 이루어질지 의문의 목소리도 나옵니다. 지역사회 확산을 막기 위한 좀 더 체계적인 방안도 필요할 것 같은데요. 어떻게 보십니까?

그런데 문제는 지역사회 감염 우려와 함께 현재 병원 내 감염 확산 우려도 커지고 있다는 겁니다. 29번 환자의 경우 확진 전까지 병원 세 군데를 무려 9차례나 방문한 것으로 확인됐는데요. 병원 특성상 감염 확산 땐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지지 않을까 걱정인데 이를 막기 위한 방법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병원 감염이 주된 전파 경로였던 메르스 사태 때와는 달리 코로나19는 병원 감염에 지역사회 감염 전파가 더해져 방역이 어려워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메르스 때와 비교하면 현재 상황은 어떻게 진단하시는지요?

그런데 특히나 29번 환자의 경우 대형 병원뿐만 아니라 동네의원을 수차례 방문한 것으로 밝혀졌는데요. 대형병원과 달리 의원급 병원은 구조상 대응이 어렵단 지적도 나오는데요. 의원급 병원에서도 코로나19 대응을 잘하기 위한 방법은 없을까요?

방역당국이 코로나19 증상이 경미한 상태에서도 빠르게 전파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나자 계절성 독감처럼 방역당국의 상시 감시대상으로 관리하겠다고 밝혔는데요. 이 같은 결정이 앞으로의 방역활동에 효과가 있을 거라고 보십니까?

교육부가 코로나19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중국인 유학생 관리 강화 방침을 밝혔는데요. 대학들은 좀 난감해하는 것 같습니다. 등교 중지 기간에 중국인 유학생들의 건강 상태와 외출 여부 등을 모니터링하라고 했기 때문인데요. 현실적으로 가능한 대안이라고 보십니까?

오늘 31번째 확진환자가 발생했습니다만 확진자 중 2명이 새롭게 퇴원을 했습니다. 확진자 31명 중 12명이 완치한 셈인데요. 1차 유행은 선방했다는 평가에 대해선 어떻게 보십니까?

중국에서도 코로나19의 대규모 확산세가 점차 둔화하는 모양새입니다. 신규 확진자가 1천명대로 줄어들었는데요. 이것도 일단은 좋은 소식이라고 봐야겠죠?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