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한눈에 쏙] 자동차 보험료 아끼는 꿀팁

  • 6년 전

◀ 앵커 ▶

생활에 도움이 되는 경제 이야기 쉽게 풀어보는 경제 한눈에 쏙 시간입니다.

경제부 윤효정 기자 나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 기자 ▶

네, 안녕하세요.

우리나라 자동차 보험 가입자가 2천만 명에 넘는다고 해요.

전 국민의 3분의 1 이상이 자동차 보험을 들었다고 볼 수 있는데요,

오늘은 이 자동차 보험료 좀 아낄 수 있는 방법 알아보려고 합니다.

◀ 앵커 ▶

귀가 솔깃해집니다. 어떤 내용들이 있을까요?

◀ 기자 ▶

서울시가 승용차 마일리지 제도라는 것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원래 이 제도는 미세먼지가 심각하다 보니까 이 미세먼지 줄일 수 있는 방안으로 나온 건데요,

쉽게 말해서 차를 좀 덜 타게 하는 겁니다.

서울시는 주행거리는 지난해에 비해 얼마나 줄였냐에 따라 적게는 2만 원에서 많게는 7만 원까지 인센티브를 지급하고 있는데요,

보험사들이 서울시와 계약을 맺어서 보험사도 주행거리에 따라 보험금액을 2%에서 많게는 40%까지 깎아주고 있습니다.

◀ 앵커 ▶

아무래도 차를 덜 타면 사고 위험도 줄어드니까, 보험사 입장에서도 손해 볼 것 없는 장사 같은데요.

◀ 기자 ▶

네, 맞습니다.

이렇게 되면 시민들은 인센티브도 받고 보험료 할인도 받아서 좋고, 서울시는 미세먼지를 좀 줄일 수 있어서 좋고요, 또 보험사들도 보상비용이 덜 나가서 좋고.

이렇게 1석 3조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차량을 운행하지 않는다에서 한발 더 나가서, 버스나 지하철 같은 대중교통 이용을 많이 하면 보험료를 할인해주기도 합니다.

보험 가입 전 3개월 동안 대중교통 이용요금이 6만 원 이상에서 12만 원 미만이면 5%, 12만 원 이상이면 8%까지 보험료가 싸집니다.

대중교통을 얼마나 탔는지 어떻게 확인하느냐.

그래서 혜택을 보려면 반드시 현금이 아닌 교통카드로 요금을 내야 합니다.

◀ 앵커 ▶

차를 덜 타고 대중교통 이용하는 것만으로도 보험료 할인 혜택을 볼 수 있다, 전혀 몰랐던 사실인데.

또 다른 내용도 궁금해지는데, 어떤 게 있을까요?

◀ 기자 ▶

너무 뻔한 얘기일 수 있는데요,

가장 좋은 방법은 사고를 내지 않는 겁니다.

계약기간 동안 무사고 운전을 하면 갱신 때 보험료가 할인되는데 무사고경력이 18년이다, 이러면 보험료가 70%까지 할인된다고 합니다.

사고 내지 않더라도 교통 법규 어기면 보험료가 올라갑니다.

다시 말해서 교통법규만 잘 지켜도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계약기간 중에 신호 위반을 2회 이상 했다, 또 음주운전을 했다 이런 경우는 보험료가 5에서 많게는 20%까지 할증 되고요, 반대로 교통법규를 잘 지킨 사람은 0.7%까지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 앵커 ▶

보험료 때문만이 아니더라도 교통법규는 잘 지켜야겠다, 다시 한 번 각오를 다지게 되는데요.

◀ 기자 ▶

네, 그렇습니다.

그리고 다른 방법도 있는데요.

요즘 운전하시면서 동영상 보시는 분들, 또 휴대전화 통화하시는 분들 많이 계신데요,

이것 모두 법규를 어기는 행동이라는 거 아시죠?

그런데 만약에 동영상을 보거나 통화를 하다가 사고가 나면 과실비율을 10% 가산합니다.

따라서 다음 갱신 때 다른 사고에 비해서 보험료가 더 오를 수 있습니다.

◀ 앵커 ▶

보험료 때문만이 아니라 어쨌든 동영상 보면서 통화하면서 운전하는 거, 정말 위험하니까요 절대 하면 안 되겠습니다.

◀ 기자 ▶

그렇습니다. 그리고 첨단장치 특약이라는 게 있습니다.

이름 참 거창하죠?

말 그대로 차량에 첨단장치가 달려 있으면 보험료를 깎아주는 겁니다.

첨단장치라고 해서 특별한 건 아니고요,

요즘은 차량에 블랙박스 다시는 분들 많이 계신데요,

블랙박스가 달려 있으면 1%에서 많게는 5%까지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 요즘 차량에 보면 차선을 넘어가면 삐삐삐 하고 차선이탈 경고음 울리는 차선이탈 경고장치.

또 전방충돌 경고장치라고 해서 긴급제동 보조 장치도 있고요,

타이어 공기압 경고장치 이런 장치 달린 차량 많은데요.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증빙서류를 내면 보험사마다 다르지만 일정 정도 보험료를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 앵커 ▶

단순히 달았다고 할인받는 게 아니라 증빙서류를 내가 내야되는 거니까 그걸 또 알아야지만 할인을 받을 수 있을 것 같네요.

◀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