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플 만남부터 의무 조퇴까지...'저출생과 전쟁' 본격화 / YTN

  • 그저께
정부가 저출생대응기획부 설치에 나선 가운데 지난 1월 '저출생과의 전쟁'을 선포한 경상북도가 100대 과제를 내놓고 정책 추진을 시작했습니다.

남녀의 만남부터 시작해 결혼과 출산, 돌봄까지 모든 주기에 걸쳐 지방자치단체가 책임지겠다는 겁니다.

이윤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초등학교와 어린이집에 다니는 딸 둘을 키우는 40대 공무원 이재성 씨.

맞벌이 가정으로 매일 아침 출근 전쟁이 벌어지는데 7월부터는 이런 부담을 덜게 됐습니다.

저출생과의 전쟁에 나선 지자체가 육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출근 시간을 의무적으로 늦추는 방안을 시행하게 된 겁니다.

[이재성 / 경상북도 공무원 : 아이를 키우는 현재 저희 젊은 세대 입장에서는 아침에 1~2시간, 저녁에 1~2시간이 사실 굉장히 중요한데…. 이 제도가 시행된다면 아무래도 부담이 완화되는 부분이….]

지난 1월 이른바 끝장 토론을 열고 해법을 고심한 경상북도가 만남과 결혼, 출산, 주거 등 6가지 분야로 추린 저출생 극복 과제 100개를 내놨습니다.

육아기 부모의 단축 근무를 의무적으로 시행하고 지역 공동체가 자정까지 아이를 돌보는 체계를 만드는 게 대표적입니다.

또 난임 남성의 시술비를 지원하고, 3자녀 가구 큰집 마련도 돕습니다.

이런 정책에 앞서 우선 남녀가 만날 기회를 만드는 것부터 시작합니다.

[안성열 / 경상북도 저출생과전쟁본부 본부장 : 우리 젊은 세대에 맞게 저희가 디자인한 정책인데 저희 도에는 포항항이 있습니다. 크루즈가 운영되고 있는데 거기서 시간을 가지면서 교제하고 충분히 결혼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당장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지만, 적어도 2030년에는 출산율을 1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입니다.

[이철우 / 경상북도지사 : 적어도 한 3년쯤 흘러가야지 성과가 나올 겁니다. 우선 대한민국 30대 반이 결혼을 안 했습니다. 결혼을 해야 한다, 결혼을 하면 행복하다, 이런 분위기가 만들어져야 합니다.]

경북뿐 아니라 서울과 충남은 육아기 공무원의 탄력 근무를 운영하고, 대구는 다자녀 공무직의 정년 연장도 추진하는 등 지자체들이 앞다퉈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지자체 노력과 함께 제도를 뒷받침할 수 있는 법을 만들고, 결혼과 출산에 대한 인식도 바꾸는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YTN 이윤재입니다.



촬영기자 전대웅... (중략)

YTN 이윤재 (lyj1025@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405150502350971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