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율 하락에 깊어지는 고심…윤대통령, 돌파구 찾을까

  • 2년 전
지지율 하락에 깊어지는 고심…윤대통령, 돌파구 찾을까

[앵커]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취임 두 달만에 30%대에 턱걸이했습니다.

역대 정부와 비교해 매우 가파른 속도의 하락입니다.

반등의 돌파구를 찾기 위한 대통령실의 고심은 커지고 있습니다.

방현덕 기자입니다.

[기자]

불가능하다 했던 용산 대통령실 이전과 청와대 개방을 성사시키고, 역대 최단기간 내 한미정상회담을 여는 등 성과도 분명 많았습니다.

하지만 취임 두 달 만에 30%대로 내려앉은 국정 지지율.

광우병 사태, 세월호 참사, 조국 사태 같은 대형 재난이나 게이트도 없는데 하락 속도는 매우 가파릅니다.

'콘크리트'로 여겨졌던 보수, 노년층 이탈이 이어지며 '더 내려갈 수 있다'는 말까지 정치권에서 흘러나옵니다.

"지지율에 일희일비하지 않는다"는 게 대통령실 공식 입장.

하지만 내부에선 반등 기회를 잡기 위해 고심 중입니다.

지지율이 더 내려갈 경우 국정 동력을 잃을 수 있다는 판단에 섭니다.

민심이 돌아선 가장 큰 요인이 고물가·고금리·고환율 위기 때문이란 판단에, 대통령의 민생 행보를 늘리기로 했습니다.

"정부가 선제적으로 지원하지 않는다면 궁극적으로 우리 사회가 안고 가야 할 사회적 비용은 더 커질 것입니다."

장관 독대 업무보고로 국정과제 드라이브를 걸고, 서해 공무원 피격, 탈북 어민 북송 사건을 고리로 전 정권과의 각세우기에도 나섰습니다.

"귀순 의사를 밝혔음에도 강제로 북송을 했다면 이는 국제법과 헌법을 모두 위반한 반인도적, 반인륜적 범죄 행위입니다."

다만, 반등 효과가 어느 정도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윤석열 정부가 '공정과 상식'을 핵심 가치로 내걸었지만 대통령실 인사 관련 논란은 끊이지 않고 있고, 김건희 여사 행보도 노출이 될 때마다 크고 작은 잡음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정치권 일각에선 인적 쇄신 등 정국 전환을 위한 과감한 주장도 나오는 상황.

반등이냐 하락이냐, 국정 지지도의 방향은 결국 이번주 윤 대통령 행보에 달렸다는 전망입니다.

연합뉴스TV 방현덕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실_이전 #청와대_개방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