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열어보기] 대만, 8초간 격리규정 어긴 男에 384만원 벌금

  • 3년 전
◀ 앵커 ▶

간밤에 새로 들어온 소식과 사람들의 관심을 끈 뉴스를 전해드리는 ‘뉴스 열어보기’ 시간입니다.

◀ 앵커 ▶

먼저, 뉴시스입니다.

필리핀의 한 이주 노동자가 대만 카오슝의 호텔에서 단 8초 동안 격리 규정을 어기고 방에서 복도로 나갔다가 약 384만 원의 벌금을 부과 받았다고 CNN이 보도했습니다.

대만 보건부는 이 남성이 격리 중인 호텔 방을 나와서 복도를 걷다가 CCTV를 본 호텔 직원들에게 붙잡혔다고 설명했는데요.

대만은 격리 조치된 사람이 잠시라도 격리 장소를 떠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대만 보건부는 "잠깐 동안 호텔 방을 떠나는 것으로는 벌금을 내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 앵커 ▶

다음은 세계일보입니다.

정부가 착륙지 없이 외국 영공을 통과하고 돌아오는 국제관광 비행을 한시적으로 허용하면서 한 달 만에 20여 편의 비행 상품이 출시됐습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아시아나항공과 제주항공 등 6개 항공사는 오는 12일부터 다음 달 1일까지 무착륙 국제관광 부정기편을 운항할 예정이라는데요.

코로나19 감염을 막기 위해서 기내식은 제공하지 않지만 앞서 출시된 일주비행 상품과는 다르게 외국 영공을 거치기 때문에 해외여행자처럼 면세품도 살 수 있습니다.

무착륙 관광비행이 항공업계에 온기가 될 것이라는 기대로 일단 시장의 반응은 긍정적이지만, 기내 감염으로 추정되는 코로나19 감염 사례도 방역당국에 보고되는 상황이라서 마냥 안심할 수만은 없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 앵커 ▶

다음은 매일경제입니다.

"금융소비자보호법에 따라서 지금부터 상담하는 내용은 녹음될 수 있습니다"

내년부터 은행 고객들은 은행 창구에서 대출 상담을 하거나 펀드에 가입할 때 이런 안내를 받게 될 전망입니다.

내년 3월부터 시행되는 금융소비자보호법의 '손해배상 입증 책임' 때문인데요.

금융소비자보호법은 만약에 소비자가 금융회사의 상품을 가입할 때 설명을 충분히 제공받지 못해서 손해를 입었다고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내면 고의나 과실이 없다는 '입증 책임'을 금융회사가 지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한 은행 관계자는 "관련 분쟁을 방지하기 위해서 은행 창구별로 녹음시설을 구축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면서 "시술 구축과 녹음시설 관리를 위해서 내년 예산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앵커 ▶

한겨레 살펴봅니다.

2년 전 한국 사회를 공분하게 한, 한국서부발전 태안화력에서 컨베이어 벨트에 끼어 숨진 24살 김용균의 산업재해는 변한 것 없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산업안전보건법이 시행된 지난 1월 16일부터 가장 최근인 10월 말까지의 산재 사망사고를 취합한 결과, 모두 72명의 노동자가 '끼임사'로 사망했다는데요.

산업재해가 여전히 반복되면서 산업안전보건법의 허점을 보완하기 위해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입법이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계속해서 나오고 있습니다.

한 전문가는 "중대재해기업처벌법이 도입되면 사업장에서 처벌받기 싫어서라도 안전 조처를 강화할 것"이라면서 "그게 형벌의 효과라고 본다"고 말했습니다.

◀ 앵커 ▶

계속해서 한겨레입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자가 4성 장군 출신인 로이드 오스틴 전 사령관을 첫 국방부 장관으로 낙점했다고 미국 언론이 보도했습니다.

## 광고 ##의회 인준을 통과할 경우, 오스틴은 미국 역사상 첫 흑인 국방장관이 되는데요.

오스틴은 '중동 전문가'라고 불립니다.

오바마 대통령 시절인 2010년에 이라크 주둔 미국 사령관이 됐고 2013년부터 퇴임 때까지 3년간 이라크, 아프가니스탄 같은 중동 지역에서 미군 주둔과 작전을 책임지는 중부사령관으로 일했기 때문인데요.

미국의 한 전직 국방 관리는 "오스틴은 국방장관으로 대통령과의 긴장과 갈등이 적고 관계가 부드러울 것"이라면서 "바이든 쪽이 오스틴을 '안전한 선택'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 앵커 ▶

끝으로, 서울신문입니다.

앞으로 폐플라스틱의 국가 간 거래가 강화됩니다.

환경부는 어제 폐플라스틱을 수출입 통제 대상 폐기물로 추가하는 '바젤협약 개정안'이 내년 1월 1일부터 발효된다고 밝혔는데요.

'바젤협약'은 유해폐기물의 국가 간 불법 거래를 방지하기 위한 ?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