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무사증 입국 중단…중국인 관광객 '뚝'

  • 4년 전
제주 무사증 입국 중단…중국인 관광객 '뚝'

[앵커]

비자 없이 제주도로 들어오는 길이 오늘(4일)부로 끊겼습니다.

대부분 중국인들이 이 무사증 입국제도를 이용해왔는데요.

제주국제공항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 분위기 알아보겠습니다.

정인용 기자.

[기자]

네, 저는 제주국제공항 입국장에 나와 있습니다.

아직 이른 시간이기는 하지만, 제 뒤로 외국인 관광객을 찾아보기가 쉽지 않을텐데요.

마카오와 홍콩 등에서 이른 아침 관광객들이 들어왔는데, 50명도 채 안 되는 등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으로 여행객 자체가 크게 줄어든 분위깁니다.

특히 오늘 0시부터는 그간 중국에서 비자 없이 최장 30일 동안 제주도에 머물 수 있었던 무사증 제도가 일시 중단됐는데요.

탑승자 사전확인시스템을 통해 무사증 입국자는 자동으로 입국이 금지되고, 현지의 항공사는 물론, 선사에 이를 확인하도록 했습니다.

국내 입국심사 단계에서도 이들을 걸러낼 방침입니다.

이미 하늘길은 곳곳이 막혔습니다.

제주도청에 따르면 이번달 들어 제주-중국 직항 항공편이 대폭 줄어 10편도 채 운항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실상 앞으로 제주에서 중국인 관광객은 거의 찾아보기 힘들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

[앵커]

정 기자, 제주도 관광업계 타격도 만만치 않을 것 같은데 좀 어떻습니까?

[기자]

네, 제주도에서 가장 우려하는 부분이 바로 그 대목인데요.

지난 일요일 기준으로 900여명의 중국인이 제주도로 입국했지만 여기엔 무사증 입국자가 포함됐기 때문에 앞으로 규모는 더 줄어들 전망입니다.

지난해의 경우 무사증으로 80만명 가까운 중국인 관광객들이 제주도를 찾았던 만큼, 타격이 적지 않을 것이란 분석입니다.

문제는 바이러스 확산 여파로 아예 이동 자체가 꺼려지다보니 국내선 이용객도 대폭 감소하고 있다는 건데요.

기존 4만명대에서 현재는 2만명대로 급감했다는 게 이곳 공항관계자들의 설명입니다.

렌트카 업체들 사정을 봐도, 이용이 워낙 적어 늘 붐비던 공항 주위 도로도 굉장히 한산한 모습입니다.

제주도는 상황이 상황인 만큼, 국제선은 물론 국내선과 제주항에도 발열감시 카메라를 설치하는 등 바이러스 유입 차단을 한층 더 강화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제주국제공항에서 연합뉴스TV 정인용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